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2)
개발자 부트캠프 목록/비교정리 개발자를 지망하는 1인으로써 다양한 교육과정과 기관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국비지원학원, 부트캠프, 다양한 온라인 단과과정 등 정말 다양한 학습도구를 찾아볼 수 있었고, 나는 오늘도 이 정보의 바다에서 헤매고 있다. 각 교육기관의 장단점은 다양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차치하고, 나는 구체적으로 어떤 기관이 교육을 제공하는지에 대해 관심이 생겼다. 어쨌든 내가 선택해야 하니까. 많은 선배 개발자들이 국비지원학원의 폐혜에 대해 지적하였고 (물론 강력크한 메릿이 있는것도 사실), 자신이 다시 선택할 기회가 있다면 부트캠프에 참가하겠다는 소회가 많았기 때문에, 오늘은 부트캠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봤다. 일단 검색은 주로 구글링을 하되, 몇몇 블로그 글에서 추천해주는 회사들을 포함해서 온라인에서 정보..
[스코클] 엑셀보다 쉬운 SQL - 1주차 세줄요약 1.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잘 저장하고 활용하기 위해 필요 2. SQL database 의 기본중 기본인 where 절과 관련된 여러 구문을 배웠음 3. 다양한 Query를 시도해보고 에러가 났을 때 이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름길 강의노트 1. 1주차 오늘 배울 것 - SQL 쿼리를 작성하기 전에 익혀야 할 개념이 너무 많음 (e.g.,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ERD, 스키마, 엔티티 등) - 여기서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부분만 할 거야~ - SQL을 잘하려면? 반복적으로 써보면서 감과 원리를 익히기 1.1. 데이터베이스 (DB)와 SQL은 왜 필요할까? -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 - 내가원하는 자료를 손쉽게 뽑아올 수 있음 - 책장은 왜? 책을 정..
[스코클] 비개발자를 위한 웹개발 종합반-1주차 스파르타코딩클럽 비개발자를 위한 웹개발 종합반 1주차 3줄요약 1. 프론트엔드의 기초 학습 및 실스 (HTML, CSS, JS) 2. 특히 자바스크립트의 기초 문법 (변수, 자료, 함수, 조건, 반복) 3. 개발은 외워서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예전에 했던 것, 남들이 했던것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것. -- 강의노트 -- 1주차 오늘 배울 것 1. 서버/클라이언트/웹의 동작 개념 - 이미 받아온 화면은 내꺼 (naver.com 홈) - (네이버의) 서버로부터 받아옴 - 브라우저 역할: 1) 요청하는 것, 2) 가져와서 보여주는 것 - 클라이언트 - HTML: 뼈대 (위치, 내용 등) - CSS: 꾸미기 (색깔, 사이즈 등) - JS: 움직이는 것 (링크, 로그인 등) 2. 필수프로그램 설치 - Pych..
[스코클] 비개발자를 위한 웹개발 종합반 0주차 2022년 10월 10일부로 웹개발 관련한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다. 5주짜리 짧은 프로젝트인데, 아마 기본중에 기본이겠지? 이 수업을 수강하면서, 웹개발의 맛을 한번 보도록 하자. 총 5주차의 강의를 수강하기에 앞서서, 각종 수업관련 환경을 세팅하게 되었는데, 크롬, Slack 을 설치하고, 즉문즉답이라는 질문게시판 관련 내용을 전달했다. 10분도 안걸리는 그런 강의였고, 무사히 마무리를 했다. 참고로 Slack 은 비즈니스 상황에서 사용하는 매신져앱인데, slack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어봤지만, 딱히 쓸일은 없었다. 별 다른 특징은 아직 모르겠고, 그냥 직장에서 카톡하기(?)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가야겠다. 각종 정보들이 Notion이라는 웹페이지를 통해 공유되었는데, 이것에 대해서도 좀 알아봐야겠다..
당신의 이력서가 3초만에 탈락한 진짜 이유 *요약/느낀점 1. 언어/스킬을 익히고 가다듬는 것은 중요 2. 이에 못지 않게 내가 가진것을 어떻게 엮어내는지도 중요 3. 성장을 해야 함. 최소한 어떻게 성장할지 그려야 하고 실천해야 함. https://www.youtube.com/watch?v=1bcmmc2rTBE 이력서 첨삭 1. 사연1 - 추상적-> 구체적 - 뭘했다->왜했냐, 어떻게 했냐, 어떤 문제를 발견, 해결, 성장 - 문제해결 사례 필요: 성능개성에 관한 내용 필요: API 몇초에서 몇초로 단축 등 - 뭘 많이 했어 -> 기술블로그 등을 통해 어필할 수 있어야. - 어떻게 성장할까? 에 대한 그림이 보여야 함.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2. 사연2 - 개발을 좋아하는(?): 추상적, 일반적 - 당연한 말은 쓰지마.. -> 어떻게 성장..
채용 담당자가 말하는 '꼭' 뽑고싶은 신입개발자 특징은? 유튜브에서 채용과 관련한 신입개발자와 비디오를 보고 취업을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미래의 바쁠 나를 위해 요약먼저 GOGO! 요약/느낀점 0. 회사규모나 면접관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약간 다를 수 있다. 1. 성장 가능성 (무제한의 리소스가 있다면? 자신만의 학습노하우가 있는지? 현재의 나는 어떤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2. 문제인지/해결능력: 문제를 인지/정의하고, 문제를 풀기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왜 해야 하는지, 어떤 기술을 써야 하는지? 등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해야 하며, 그 과정과 결과를 보여줄수 있어야 함. 3. 어필을 잘 해야 함. https://www.youtube.com/watch?v=2to3IQFhZVo Q. 어떤 개발자를 뽑으시겠습니까? (..
쓸데 있는 댓글 모음 {좋코딩} 아는 동생한테 개발자 관련 웹 드라마를 소개받았다. "나도코딩"이라는 개발자 유튜버 채널에서 비전공자 문과 출신이 부트캠프에 가서 6개월동안 공부한 다음에 개발자로 취업해서 겪는 상황을 드라마 형식으로 제작한 드라마이다. 동생 말로는 현실 고증이 잘 되어 있고, 댓글 중에도 도움 될만한 내용이 있다고 하여 댓글까지 쭉 훓어보고 뭔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메시지를 이곳에 모아 보기로 하였다. 댓글 모음은 맨 아래에 시간이 없으니 정리한 내용은 바로 아래에 공부하는 동안 1) 질문 하기 전에 내가 해결해보려는 노력을 해야 함 (구글링 등), 2) 항상 코딩생각(고민)하기, 3)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에 대한 방향성을 정하기, 4) todo 리스트라도 만들어보기 (토이프로젝트), 5) 여기에 ..
K-디지털 아카데미 (국비지원) 얼마전에 알게된 K-디지털 아카데미! 고용노동부에서 개발자 인력 충원을 위해 만들어진 지원제도로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디지털/신기술 분야 취업을 위한 강좌 뿐만 아니라 (K-디지털 트레이닝), 기초코딩, 웹/앱 개발과 같은 비교적 가벼운 강의들을 들을 수 있는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 있고 그 밖에 재직자 디지털 융합 훈련 (기업, 학교에서 신청하는 과정인 듯), K-디지털 플랫폼 (장비, 시설, 훈련과정 제공 - 22년10월 현재 개발중인 듯) 과 같은 프로그램이 있다. 그 중 나는 코딩, 개발 학습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K디지털 트레이닝과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K디지털 트레이닝이 좀 더 심화된 학습 (5~7개월)을 제공하는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원을 알아보니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