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개발자취업

채용 담당자가 말하는 '꼭' 뽑고싶은 신입개발자 특징은?

728x90

유튜브에서 채용과 관련한 신입개발자와 비디오를 보고 취업을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미래의 바쁠 나를 위해 요약먼저 GOGO!

 

요약/느낀점

0. 회사규모나 면접관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약간 다를 수 있다.

1. 성장 가능성 (무제한의 리소스가 있다면? 자신만의 학습노하우가 있는지? 현재의 나는 어떤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2. 문제인지/해결능력: 문제를 인지/정의하고, 문제를 풀기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왜 해야 하는지, 어떤 기술을 써야 하는지? 등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해야 하며, 그 과정과 결과를 보여줄수 있어야 함.

3. 어필을 잘 해야 함.

 

 

https://www.youtube.com/watch?v=2to3IQFhZVo 

 

Q. 어떤 개발자를 뽑으시겠습니까? (중요도 순)

A. 조은

1. 성장 가능성 - 만약 무제한의 리소스가 있으면 어떤 사업을 해보고 싶은지. (비즈니스 마인드) & 그것을 기술적으로 풀어낼수 있는 사람

2. 태도와 자세 (메타인지, )

3. 문제인지능력 (보통 잘 못하는 부분)

*자주하는 면접 질문

- 마지막(최근) 블로그 글과 관련 어떤 경험을 했고, 어느부분을 문제로 인식했는지, 이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블로그 글이 사실인지

4. 커뮤니케이션 (미성숙해도 괜찮다)

 

A. 이동욱

1. 나만의 학습법 - best practice

2. 태도2: 일을 마무리할 수 있는 능력. 집요함

- 프로그램을 온전히 만들어 놓은 게 있는지? 코드퀄리티가 끝까지 유지됐는지?

3. 태도: 논리력. why? 문제 해결할 뿐만 아니라, 그 로직을 바라보기. 부검. 이유를 계속 물어보는 습관

4. 최소한의 커뮤니케이션

 

A. 원희

*면접질문: 내가 풀었던 문제중에 어려웠던 점. 뿌듯했던 점

1. 필요한 질문을 하는 역량: 해결을 하면 됨. 

2. 태도/자세 (메타인지): 내가 뭘 잘하고 뭘 못하는지 알아야 함. 내가 이 일을 왜하는지, 어떤 임팩트가 있는지 고민하는 사람

3. 커뮤니케이션 스킬

4. 문제인지/해결능력 = (주니어는) 최소한만 있으면 됨

 

Q. 어떤 언어&스킬을 할줄 알아야 하나? 는 질문은 안중요?

A. (동욱)다른 것에 비해 덜 중요. 지식 set 자체는 중요. 어떤 언어를 사용했는지, 문제에 직면했을 때 그 문제를 언어의 특성을 잘 살려서 풀었는지

 

Q. 인터뷰에서 언어/스킬에 대해 물어보는 이유

A. (동욱)그 언어를 잘한다고 이력서에 썼으니까...

 

Q. 합격 불합격을 가르는 Key

A. (동욱)백엔드 개발자 포지션을 뽑는 자리에 온갖걸 다 할줄 안다고 적어놓은 지원자 - 제대로 하는 것이 없을것이 뻔할 뿐만 아니라, 학원에서 시키는 대로만 작성한 것 (무지성 작성)

A. (조은)언어 능력에 '상' 이라고 적어놓은 경우

 

Q. 좋은 사람을 뽑지 못할 걱정보다 나쁜 사람을 뽑을 걱정을 더 한다. 

A. (동욱) 좋은 팀을 만드는데는 오래 걸리지만, 그 팀을 망가뜨리는 데는 한달이면 족하다.